[Spring - 어노테이션(Annotation) ▶ HTTP 요청(2) ] @RestController → @Controller + @ResponseBody 의 축약형
@RestController
- REST는 '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'의 약어로 하나의 URI는 하나의 고유한 리소스(resource)를 대표하도록 설계된 개념. REST API는 외부에서 위와 같은 방식으로 특정 URI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.
- @Controller + @ResponseBody 의 축약형으로써, 리턴값을 뷰리졸버로 매핑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해준다.
가끔 ajax에서 success에서 값을 못 받아오는 경우가 있는데 @Controller로 선언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자 @Controller를 썼다면 @RequestMapping부분에서 @ResponseBody를 같이 써줘야 값을 전달 할 수 있다.
하지만 @Controller를 @RestController로 바꾸면 @ResponseBody를 쓸 필요가 없어져 되도록이면 @RestController를 쓰면 좋다.